[Project - 빌릴건대] KUIT 4기 해커톤
·
Projects
교내 동아리에서 진행하는 해커톤에 참여하고 기여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. 동아리에서 스터디한 내용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해본다는 취지의 해커톤이었고, 사전 준비기간 4일과 1박의 해커톤 본 행사로 이루어진 짧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.PM 없이 안드로이드 3명 / 서버 3명이서 진행하였고, 팀원분들 대부분 프로젝트 경험이 많지는 않았어서 기본적인 CRUD 위주의 간단한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. KUIT-4th-Hackathon-Team2/backend GitHub - KUIT-4th-Hackathon-Team2/backendContribute to KUIT-4th-Hackathon-Team2/back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github.c..
[Project - Whenwhen] 2. ERD 작성기
·
Projects
요구사항 분석을 완료한 이후, 테이블간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ERD를 작성하였다.간단한 구조이지만, 데이터베이스 네이밍 컨벤션에 맞춰서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. 이벤트 도메인events 테이블각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를 담당하는 테이블이다.code초대 링크를 구성할 코드를 저장하는 컬럼이다. 이벤트 당 인원이 소규모이고, 주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링크 만료 기능은 구현하지 않고, 하나의 이벤트와 하나의 링크가 종속되도록 하였다. start_hour, end_hour매일 선택 가능한 시간의 범위를 정하는 컬럼이다. status이벤트 종료 이후에도, 삭제 대신 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active와 completed 상태를 가지게 했다. dates 테이블이벤트 생성..
[Project - Whenwhen] 1. 프로젝트 개요
·
Projects
http://www.when2meet.com When2meet www.when2meet.comwhen2meet이라는 사이트가 있다. 약속시간을 쉽게 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이트이다.일정을 맞출 날짜들을 고르고 링크를 공유하면 각 유저는 일자별로 본인이 가능한 시간을 체크하여 각 유저가 가능한 겹치는 시간을 알 수 있다. 간편하고 군더더기 없는 서비스이지만, 더 깔끔한 UI와 함께 보완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여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되었다. when2meet 서비스의 단점보완하고자 하는 단점 두 가지를 뽑아 봤다.1. UI가 부족하다.when2meet을 처음 들어가면 숨이 턱 막힌다. 매우 간단한 UI이지만, 사용자 경험을 위해서는 더 "예쁘고 깔끔한" UI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. 또, 일정 체크 서비..